GREEN PACKAGE SOLUTION

PR

언론보도

언론보도

북극해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10년 전부터 시작됐다
2022 March. 22

북극해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원인과 축적 장소 규명

러시아 북쪽 바렌츠해, 랍테프해, 캐나다쪽 배핀만 집중 오염


북극해의 고농도 미세플라스틱 오염 진원지 알고보니... 노르웨이 과학자들이 북극해를 오염시키고 있는 고농도 미세플라스틱의 진원지를 추적한 결과 유럽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또 미세플라스틱 오염은 최근에 생긴 것이 아니라 최소한 10년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확인됐다.

▲ 북극해의 고농도 미세플라스틱 오염 진원지 알고보니...

노르웨이 과학자들이 북극해를 오염시키고 있는 고농도 미세플라스틱의 진원지를 추적한 결과 유럽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또 미세플라스틱 오염은 최근에 생긴 것이 아니라 최소한 10년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플라스틱 사용량이 전 세계적으로 늘었다. 

일부 재활용되기도 하지만 버려진 플라스틱은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이 돼 강이나 땅 속 지하수를 통해 바다에 이르게 된다. 

미세플라스틱은 해양 생물을 거쳐 결국 사람의 몸 속으로 들어와 축적된다. 

근에는 그동안 청정 지역으로 알려졌던 극지방의 바다에도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심각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북극해를 오염시킨 미세플라스틱의 발원지가 어디인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었는데 

이번에 노르웨이 과학자들이 고농도 미세플라스틱의 북극해 유입 미스터리를 풀어냈다.


노르웨이 해양연구소 해양·기후학과, 노르지언 극지연구소, 트롬쇠-극지대 물리학·기술학과 공동연구팀은 

북극해와 북유럽해, 북극해와 북대서양을 잇는 배핀만(Baffin Bay)에 축적되는 미세플라스틱은 

유럽의 강에서 흘러나온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기초 과학 및 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3월 18일자에 실렸다.

앞선 많은 연구들에서는 북극해에 전반적으로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심각하다는 사실만 확인했을 뿐 

미세플라스틱의 출처와 축적 위치가 불명확했다.

연구팀은 2007~2017년 북극해 주변 해류 흐름과 미세플라스틱 이동 시뮬레이션을 결합해 분석했다. 

연구팀은 유럽 21개 주요 강에서 미세플라스틱이 흘러나올 경우 해류를 타고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모델링한 것이다. 

또 2017년 5월부터 2018년 8월까지 노르웨이 서해안 17개 지점에서 채취한 바닷물 시료 121개의 미세플라스틱 

분포와 성분을 분석해 모델링 결과와 비교했다.

그 결과, 유럽의 강들에서 흘러나온 미세플라스틱들 중 65%는 노르웨이 해안을 따라 시베리아 북쪽 랍테프해를 거쳐 

북극해로 이동한 뒤 그린란드와 노르웨이 스발바르 군도 사이의 프람해협(Fam Strait)을 통해 북극해를 빠져나갔다. 

또 30% 정도는 노르웨이 해안을 따라 가다가 프람해협을 통해 남쪽으로 이동한 뒤 그린란드 동쪽과 남쪽 해안을 거쳐 캐나다 북동쪽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빠져나갔다는 것을 확인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미세플라스틱의 이동경로를 파악한 연구팀은 축적 장소를 추적한 결과 북유럽해, 북극해 난센 분지, 북극해와 러시아 북쪽 사이에 있는 바렌츠해, 랍테프해, 그린란드와 캐나다 사이에 위치한 배핀만에 집중적으로 축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바닷물 샘플 분석 결과는 이 같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뒷받침해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북극해에서 확인된 고농도 미세플라스틱은 적어도 10년 전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를 이끈 욘 알레테센 해양연구소 박사(해양물리학·모델링)는 “미세플라스틱의 순환이 북극 생태계 건강에 영향에 미칠 수 있는 만큼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 개선이 시급하다는 것을 이번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